사진가 최요한의 [어서 오십시오]는 사월의눈 두 번째 리듬총서이자 첫 번째 리듬총서 [대구는 거대한 못이었다]를 잇는 출판사의 자체 기획물이다. 사월의눈은 2022년 5월, 최요한에게 한국의 다국어 경관 기록을 의뢰했다. 확산 중인 국내 다국어 경관을 포착함으로써 변화하는 한국 시각문화의 한 단면을 기록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최요한은 서울 구로동과 대림동 및 이태원 등을 시작으로 경기권의 의정부와 동두천 및 경상권의 논공과 김해 등지로 촬영지를 넓히며 1년 반 동안 한국의 다국어 경관을 수집했다. 중국어 간체자에서부터 러시아어 키릴문자, 싱할라 문자에 이르는 거리 글자들 뿐만 아니라 미군 부대 주변 상권의 영문 로마자 도 대상이었다. 이 글자들은 한국 ‘원’주민들은 미처 지각하지 못하는 어떤 무의식을 표상한다. ‘한국’이라는 토양에 세워졌지만 정작 한국인들은 해독이 불가능한 언어로서 -책의 노란색 지면이 암시하듯- 구글 렌즈의 실시간 자동 번역만이 문자 생태계의 이면을 전달한다.
책에는 언어 경관과 함께 작가가 촬영지에서 느꼈을 정서를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사진도 수록했다. 작가 특유의 스산하면서도 격정적인 사진이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포착된 언어 경관과 정렬됨으로써 기록물로서의 사진과 주관적 표현으로서의 사진을 두루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작가는 밤 시간대에만 사진을 찍었는데, 해외 이주민 및 외국인 노동자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작가 나름의 해석이자 비유이다.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사이 이 ‘낯선’ 문자 생태계는 느리고 완만하게 확산 중이다. 이 풍경을 관찰하는 것은 한국 사회가 겪고 있지만 동시에 간과하고 있는 어떤 점진적 변화에 대한 자각이다. 언어 경관에 대한 해석으로서 대구시 주무관이자 독립 도시 연구가인 이상현의 인포그래픽이 동원된다. 최요한이 집요하게 담아낸 문자 생태계를 해석할 수 있는 단서들이다.
작가 소개
최요한
1989년생.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스물세 번의 이사를 다니며 현재 서울 정착을 시도 중인 사진가. 수많은 이사 탓에 여러 장소를 떠도는 것에 익숙한 사람이 되어버렸고, 낯선 곳을 친숙하게 느끼기도 한다. 순례자들이 길을 걷는 이유를 작성한 종이와 그들의 초상사진 그리고 길의 정서를 엮어 만든 《Nonlinear Frances〉 연작을 2017년에 시작했으며, BAH ‹Nonlinear Portugues) 2 ‹Nonlinear Primitivo> 작업으로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분단의 그림자 같은 상황을 긁어모으는 〈Side California〉 작업을 진행 중이다. 깊은 낮과 밝은 밤)(OS, 서울, 2020). 《Nonlinear)(공간 극, 서울, 2018) 등의 개인전과 《길 위의 파롤>(해든뮤지엄, 강화도, 2024), 《JRNL Show》(Fotofilmic, 보 아일랜드, 밴쿠버, 2024>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뮤지엄한미 24/25 MH Talent Portfolio(뷰리뷰 부문)와 2023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사전프로그램인 포트쫄리오 리뷰에 선정되었다.
사진가 최요한의 [어서 오십시오]는 사월의눈 두 번째 리듬총서이자 첫 번째 리듬총서 [대구는 거대한 못이었다]를 잇는 출판사의 자체 기획물이다. 사월의눈은 2022년 5월, 최요한에게 한국의 다국어 경관 기록을 의뢰했다. 확산 중인 국내 다국어 경관을 포착함으로써 변화하는 한국 시각문화의 한 단면을 기록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최요한은 서울 구로동과 대림동 및 이태원 등을 시작으로 경기권의 의정부와 동두천 및 경상권의 논공과 김해 등지로 촬영지를 넓히며 1년 반 동안 한국의 다국어 경관을 수집했다. 중국어 간체자에서부터 러시아어 키릴문자, 싱할라 문자에 이르는 거리 글자들 뿐만 아니라 미군 부대 주변 상권의 영문 로마자 도 대상이었다. 이 글자들은 한국 ‘원’주민들은 미처 지각하지 못하는 어떤 무의식을 표상한다. ‘한국’이라는 토양에 세워졌지만 정작 한국인들은 해독이 불가능한 언어로서 -책의 노란색 지면이 암시하듯- 구글 렌즈의 실시간 자동 번역만이 문자 생태계의 이면을 전달한다.
책에는 언어 경관과 함께 작가가 촬영지에서 느꼈을 정서를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사진도 수록했다. 작가 특유의 스산하면서도 격정적인 사진이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포착된 언어 경관과 정렬됨으로써 기록물로서의 사진과 주관적 표현으로서의 사진을 두루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작가는 밤 시간대에만 사진을 찍었는데, 해외 이주민 및 외국인 노동자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작가 나름의 해석이자 비유이다.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사이 이 ‘낯선’ 문자 생태계는 느리고 완만하게 확산 중이다. 이 풍경을 관찰하는 것은 한국 사회가 겪고 있지만 동시에 간과하고 있는 어떤 점진적 변화에 대한 자각이다. 언어 경관에 대한 해석으로서 대구시 주무관이자 독립 도시 연구가인 이상현의 인포그래픽이 동원된다. 최요한이 집요하게 담아낸 문자 생태계를 해석할 수 있는 단서들이다.
작가 소개
최요한
1989년생.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스물세 번의 이사를 다니며 현재 서울 정착을 시도 중인 사진가. 수많은 이사 탓에 여러 장소를 떠도는 것에 익숙한 사람이 되어버렸고, 낯선 곳을 친숙하게 느끼기도 한다. 순례자들이 길을 걷는 이유를 작성한 종이와 그들의 초상사진 그리고 길의 정서를 엮어 만든 《Nonlinear Frances〉 연작을 2017년에 시작했으며, BAH ‹Nonlinear Portugues) 2 ‹Nonlinear Primitivo> 작업으로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분단의 그림자 같은 상황을 긁어모으는 〈Side California〉 작업을 진행 중이다. 깊은 낮과 밝은 밤)(OS, 서울, 2020). 《Nonlinear)(공간 극, 서울, 2018) 등의 개인전과 《길 위의 파롤>(해든뮤지엄, 강화도, 2024), 《JRNL Show》(Fotofilmic, 보 아일랜드, 밴쿠버, 2024>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뮤지엄한미 24/25 MH Talent Portfolio(뷰리뷰 부문)와 2023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사전프로그램인 포트쫄리오 리뷰에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