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말하는 눈』은 글과 사진을 단선적으로 모은 선집이나 작품집이 아니라, 응축된 생각을 엮은 글을 세밀하게 배치한 사진과 함께 읽어내는 예술에세이에 가깝다. 그런데 여기에 사진산문이나 사진에세이 대신 ‘사진론’이라는 말을 붙였다. 그만큼 철저하게 ‘사진’을 성찰하겠다는 뜻이 아닐까. 이 책은 지은이가 사진가로서 ‘현장’을 바라보고 머무르고 담아내며 고뇌하고 사투한 흔적으로 가득하다. 그가 포착하고 집중하는 장면은 현실과 동떨어진 예술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제주·광주·평택 등 우리 일상 곳곳과 마주하고 교차한다.
『말하는 눈』은 「사진의 가위질」, 「방아쇠, 총알과 필름」, 「사진의 시간」, 「기억 투쟁」 네 장으로 이루어진다. 「사진의 가위질」에서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공정하여 사사로움 없는’ 사진이란 말장난에 불과하며 사진의 생성에는 반드시 의미의 확장·축소·굴절이 있음을 지적한다. 펼쳐지고 이어진 시공간을 잘라내는 사진은 반드시 은폐를 내포한다. 사진이 뭔가를 보여준다는 얘기는, 뭔가는 감춘다는 얘기다. 시공간을 찰칵 잘라내는 동시에 잘린 시간의 앞뒤, 잘린 공간의 안팎을 탐색하며 의미를 꿰어가는 과정의 치열한 고민을 엿볼 수 있다. 「방아쇠, 총알과 필름」에서는 하루에 사진을 찍어대는 횟수가 밥숟가락을 뜨는 횟수보다 많아진 시대에 사진에 담긴 의도를 어떻게 판단할지 고민한다. 사진은 맥락에 의존하는 텍스트다. 중요한 건 생산된 사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어느 맥락에 놓을 것인가 하는 문제다. 선의의 맥락에 놓였던 사진도 악의를 위해 봉사할 수 있다. 노순택은 그것이 사진의 함정이며, 또한 사진의 가능성이라고 말한다. 「사진의 시간」에서는 산 사람의 터만큼이나 죽은 사람의 무덤을 자주 찾은 기억을 되짚으며, 시간 앞에 바스러지는 사람과 사진에 관해 숙고한다. 삶과 죽음, 존재와 부재 사이에서 과거·현재·미래의 관계와 의미를 날카롭게 파고든다. 그는 “과거란 징검다리를 밟지 않고 미래로 나아가는 현재란, 삶에는 없다”고 말한다. 「기억 투쟁」에서는 망각에 맞서 힘겨운 투쟁으로 기억을 지켜온 이들을 목도한다. 기억조차, 기록조차 때론 망각의 재료가 되는 고통 속에서 상처와 한 몸이 된 사람들의 풍경은 저릿한 아픔으로 다가온다.
사진이란 오묘한 구슬이어서, 세상을 내다보는 창이기도 하고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거울 앞에서 멈칫하게 하는 것, 그것이 지은이가 사진으로 건네고 싶은 말이다. 그런 까닭에 “사진을 믿는가” 하는 노순택의 물음은, “사진은 있는 그대로를 다루되, 있는 그대로 보여주지 않는다”는 통찰은 독자 마음을 뒤흔들고 요동하게 한다.
작가 소개
노순택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대학원에서 사진학을 공부했다. 세상 돌아가는 온갖 문제에 관심을 품어왔지만, 그중에서도 한국전쟁과 분단이 낳은 부조리한 사회적 풍경에 주목해왔다. 2004년 〈분단의 향기〉를 시작으로 〈얄읏한 공〉(2006)·〈붉은틀〉(2007)·〈비상국가〉(2008)·〈좋은살인〉(2010)·〈망각기계〉(2012)·〈시켜서 춘 춤〉(2016)·〈핏빛파란〉(2018)·〈검은깃털〉(2022) 등의 국내외 개인전을 열었고, 같은 이름의 사진집을 펴냈다. 동강사진상(2012)·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2014)·구본주예술상(2016)을 받았다.
도시를 떠나 섬으로 이주한 뒤, 바닷가로 쓸려 온 잔해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책 소개
『말하는 눈』은 글과 사진을 단선적으로 모은 선집이나 작품집이 아니라, 응축된 생각을 엮은 글을 세밀하게 배치한 사진과 함께 읽어내는 예술에세이에 가깝다. 그런데 여기에 사진산문이나 사진에세이 대신 ‘사진론’이라는 말을 붙였다. 그만큼 철저하게 ‘사진’을 성찰하겠다는 뜻이 아닐까. 이 책은 지은이가 사진가로서 ‘현장’을 바라보고 머무르고 담아내며 고뇌하고 사투한 흔적으로 가득하다. 그가 포착하고 집중하는 장면은 현실과 동떨어진 예술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울·제주·광주·평택 등 우리 일상 곳곳과 마주하고 교차한다.
『말하는 눈』은 「사진의 가위질」, 「방아쇠, 총알과 필름」, 「사진의 시간」, 「기억 투쟁」 네 장으로 이루어진다. 「사진의 가위질」에서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이며 공정하여 사사로움 없는’ 사진이란 말장난에 불과하며 사진의 생성에는 반드시 의미의 확장·축소·굴절이 있음을 지적한다. 펼쳐지고 이어진 시공간을 잘라내는 사진은 반드시 은폐를 내포한다. 사진이 뭔가를 보여준다는 얘기는, 뭔가는 감춘다는 얘기다. 시공간을 찰칵 잘라내는 동시에 잘린 시간의 앞뒤, 잘린 공간의 안팎을 탐색하며 의미를 꿰어가는 과정의 치열한 고민을 엿볼 수 있다. 「방아쇠, 총알과 필름」에서는 하루에 사진을 찍어대는 횟수가 밥숟가락을 뜨는 횟수보다 많아진 시대에 사진에 담긴 의도를 어떻게 판단할지 고민한다. 사진은 맥락에 의존하는 텍스트다. 중요한 건 생산된 사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어느 맥락에 놓을 것인가 하는 문제다. 선의의 맥락에 놓였던 사진도 악의를 위해 봉사할 수 있다. 노순택은 그것이 사진의 함정이며, 또한 사진의 가능성이라고 말한다. 「사진의 시간」에서는 산 사람의 터만큼이나 죽은 사람의 무덤을 자주 찾은 기억을 되짚으며, 시간 앞에 바스러지는 사람과 사진에 관해 숙고한다. 삶과 죽음, 존재와 부재 사이에서 과거·현재·미래의 관계와 의미를 날카롭게 파고든다. 그는 “과거란 징검다리를 밟지 않고 미래로 나아가는 현재란, 삶에는 없다”고 말한다. 「기억 투쟁」에서는 망각에 맞서 힘겨운 투쟁으로 기억을 지켜온 이들을 목도한다. 기억조차, 기록조차 때론 망각의 재료가 되는 고통 속에서 상처와 한 몸이 된 사람들의 풍경은 저릿한 아픔으로 다가온다.
사진이란 오묘한 구슬이어서, 세상을 내다보는 창이기도 하고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거울 앞에서 멈칫하게 하는 것, 그것이 지은이가 사진으로 건네고 싶은 말이다. 그런 까닭에 “사진을 믿는가” 하는 노순택의 물음은, “사진은 있는 그대로를 다루되, 있는 그대로 보여주지 않는다”는 통찰은 독자 마음을 뒤흔들고 요동하게 한다.
작가 소개
노순택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대학에서 정치학을, 대학원에서 사진학을 공부했다. 세상 돌아가는 온갖 문제에 관심을 품어왔지만, 그중에서도 한국전쟁과 분단이 낳은 부조리한 사회적 풍경에 주목해왔다. 2004년 〈분단의 향기〉를 시작으로 〈얄읏한 공〉(2006)·〈붉은틀〉(2007)·〈비상국가〉(2008)·〈좋은살인〉(2010)·〈망각기계〉(2012)·〈시켜서 춘 춤〉(2016)·〈핏빛파란〉(2018)·〈검은깃털〉(2022) 등의 국내외 개인전을 열었고, 같은 이름의 사진집을 펴냈다. 동강사진상(2012)·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2014)·구본주예술상(2016)을 받았다.
도시를 떠나 섬으로 이주한 뒤, 바닷가로 쓸려 온 잔해들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