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중심, 이성애 중심의 세상에서
차별과 혐오를 딛고 ‘나’로 살아가는 목소리들
이것은 어떤 목소리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남성 중심의 세상에서 혼자 감춰왔거나 억누르던 여성의 목소리, 정상성 규범의 사회에서 다수가 무시하거나 지워냈던 성소수자의 목소리.
이번호는 이 목소리들을 사진과 글로 전한다. 이 목소리는 여성의 몸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남들과 다른 정체성으로 살아간다는 이유로 자신이 겪은 차별과 혐오를 고백한다. 이 목소리는 남성과 여성, 정상성과 비정상성 등 이분법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폭력을 고발한다. 이 목소리는 더 이상 감추거나 억누르지 않겠다고, 무시되거나 지워지지 않겠다고 스스로에게 선언한다.
이렇게 그동안 숨죽였던 목소리를 발화하는 시간이란, 그동안 숨겨왔던 몸을 드러내는 자리란, 결국 어떤 의지가 단단하게 빛나는 순간일 것이다.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더 이상 내가 아닌 나로 살아갈 수 없다는 절박함과 이제 내 자신으로 살아가고 싶다는 절실함을 꾹꾹 눌러쓴 목소리와 몸짓을 투명하게 읽어주기를 바란다.
아름다움으로 강요될 수 없는 각자의 몸
이분법으로 규정될 수 없는 그들의 삶
열여덟 번째 보스토크 매거진은 다채로운 사진 작업과 글을 통해 ‘젠더’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 등 고정된 성 역할과 이미지를 강요하는 사회 속에서 억압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본다. 특히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혐오, 성적 대상화 등의 문제를 국내외 사진 작업을 통해 살펴본다. 레아 슈레이거와 한나 프라이스는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는 남성의 시선에 의문을 제기하며, 작업 안에서 남성의 욕망을 투사하는 시선을 교란시키거나 되돌려준다. 황예지는 페미당당과의 협업을 통해 ‘아름다운 몸’을 강요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이 자신의 몸에 가질 수밖에 없는 자기혐오를 직시한다. 또한 카메라 앞뒤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이옥토와 김인정은 각자의 글에서 사진 매체적 특성과 구조적 한계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여성이 이미지로 재현되고 소비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사유한다.
한편, 루인의 글 ‘비규범성은 인식될 수 있을까?’를 시작으로 남성/여성의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의 정상성 규범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과 사진 작업들이 펼쳐진다. 앤 소피 기예, 사라 메이 허만, 태거 얀시, 제스 듀건의 사진 작업들은 다양한 성적 정체성을 지닌 이들의 모습을 섬세한 시선으로 보여준다. 특히 미국 전역을 다니며 노년의 트랜스젠더를 만나 초상 촬영과 인터뷰를 함께 진행한 제스 듀건의 〈To Survive on This Shore〉는 매우 인상적인 작업이다. 각자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삶을 위해 고군분투한 그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면, 과연 세상이 무슨 권리로 이들의 존재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눌 수 있는지 깊은 회의에 이르게 된다.
VOSTOK 2019년 11-12월호 / VOL. 18
특집 |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002 이옥토: 카메라의 뒤를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010 Leah Schrager: Infinity Selfie
022 Hannah Price: City of Brotherly Love
036 황예지: 몸과 몸 사이
065 김인정: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073 루인: 비규범성은 인식될 수 있을까?
082 Kris Sanford: Through the Lens of Desire
097 Snakepool: Drag in Seoul
108 Corinne Mariaud: Flower Beauty Boys
123 서동진: 이제 당신의 우울은 내게로 옮겨집니다, 렌 항(任航)에게
135 장모리: 말과 초상
160 Anne-Sophie Guillet: Inner Self / Together
174 Sarah Mei Herman: Touch
188 Tagger Yancey IV: I've Loved Some of These People
204 Jess T. Dugan: To Survive on This Shore
225 윤원화: [사진 같은 것의 기술] 주인 없는 사진의 운동, 『ronoH tuC』
238 김현호: [포토북 아나토미] 작은 섬과 세계를 연결하는 명료하고 섬세한 사진책
남성 중심, 이성애 중심의 세상에서
차별과 혐오를 딛고 ‘나’로 살아가는 목소리들
이것은 어떤 목소리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남성 중심의 세상에서 혼자 감춰왔거나 억누르던 여성의 목소리, 정상성 규범의 사회에서 다수가 무시하거나 지워냈던 성소수자의 목소리.
이번호는 이 목소리들을 사진과 글로 전한다. 이 목소리는 여성의 몸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남들과 다른 정체성으로 살아간다는 이유로 자신이 겪은 차별과 혐오를 고백한다. 이 목소리는 남성과 여성, 정상성과 비정상성 등 이분법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폭력을 고발한다. 이 목소리는 더 이상 감추거나 억누르지 않겠다고, 무시되거나 지워지지 않겠다고 스스로에게 선언한다.
이렇게 그동안 숨죽였던 목소리를 발화하는 시간이란, 그동안 숨겨왔던 몸을 드러내는 자리란, 결국 어떤 의지가 단단하게 빛나는 순간일 것이다.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더 이상 내가 아닌 나로 살아갈 수 없다는 절박함과 이제 내 자신으로 살아가고 싶다는 절실함을 꾹꾹 눌러쓴 목소리와 몸짓을 투명하게 읽어주기를 바란다.
아름다움으로 강요될 수 없는 각자의 몸
이분법으로 규정될 수 없는 그들의 삶
열여덟 번째 보스토크 매거진은 다채로운 사진 작업과 글을 통해 ‘젠더’의 문제를 다룬다. 우선 여성스러움과 남성스러움 등 고정된 성 역할과 이미지를 강요하는 사회 속에서 억압 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본다. 특히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차별과 혐오, 성적 대상화 등의 문제를 국내외 사진 작업을 통해 살펴본다. 레아 슈레이거와 한나 프라이스는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바라보는 남성의 시선에 의문을 제기하며, 작업 안에서 남성의 욕망을 투사하는 시선을 교란시키거나 되돌려준다. 황예지는 페미당당과의 협업을 통해 ‘아름다운 몸’을 강요하는 사회 속에서 여성이 자신의 몸에 가질 수밖에 없는 자기혐오를 직시한다. 또한 카메라 앞뒤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이옥토와 김인정은 각자의 글에서 사진 매체적 특성과 구조적 한계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여성이 이미지로 재현되고 소비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사유한다.
한편, 루인의 글 ‘비규범성은 인식될 수 있을까?’를 시작으로 남성/여성의 이분법과 이성애 중심의 정상성 규범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과 사진 작업들이 펼쳐진다. 앤 소피 기예, 사라 메이 허만, 태거 얀시, 제스 듀건의 사진 작업들은 다양한 성적 정체성을 지닌 이들의 모습을 섬세한 시선으로 보여준다. 특히 미국 전역을 다니며 노년의 트랜스젠더를 만나 초상 촬영과 인터뷰를 함께 진행한 제스 듀건의 〈To Survive on This Shore〉는 매우 인상적인 작업이다. 각자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삶을 위해 고군분투한 그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면, 과연 세상이 무슨 권리로 이들의 존재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눌 수 있는지 깊은 회의에 이르게 된다.
VOSTOK 2019년 11-12월호 / VOL. 18
특집 |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002 이옥토: 카메라의 뒤를 봐주시기를 바랍니다
010 Leah Schrager: Infinity Selfie
022 Hannah Price: City of Brotherly Love
036 황예지: 몸과 몸 사이
065 김인정: 나는 당신의 것이 아니다
073 루인: 비규범성은 인식될 수 있을까?
082 Kris Sanford: Through the Lens of Desire
097 Snakepool: Drag in Seoul
108 Corinne Mariaud: Flower Beauty Boys
123 서동진: 이제 당신의 우울은 내게로 옮겨집니다, 렌 항(任航)에게
135 장모리: 말과 초상
160 Anne-Sophie Guillet: Inner Self / Together
174 Sarah Mei Herman: Touch
188 Tagger Yancey IV: I've Loved Some of These People
204 Jess T. Dugan: To Survive on This Shore
225 윤원화: [사진 같은 것의 기술] 주인 없는 사진의 운동, 『ronoH tuC』
238 김현호: [포토북 아나토미] 작은 섬과 세계를 연결하는 명료하고 섬세한 사진책